전체 글 4487

정당의생명력(박지향교수님) 6강

민주주의 시대의 보수당 1. 요약(민주주의 시대의 보수당) ①19세기까지 영국 보수당과 자유당은 구체적 정책을 놓고 경쟁했지만 기본적으로는 상당히 유사한 신조와 이상을 믿고 있었으나, 20세기 자유방임주의에 대한 확신이 힘을 잃어감에 따라 보수당 내에서도 보호무역주의의 요청이 커 가고 외부적으로도 자유당 대신 노동당이 보수당의 상대 당이 됨. ②구두제조업으로 자수성가한 체임벌리는 관세개혁을 착안하여 영제국과 그 외의 국가간 관세 차별을 두고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폈으나 실패하고 1906년 총선에서 자유당이 승리했으며, 보수당은 자유무역파와 관세개혁파로 나뉘어 갈등하였고 윈스턴 처칠(Winston Churchill)은 자유당으로 옮김. ③19 세기 후반 중간계급에 의한 노동조합 운동과 노동당의 부흥으로 위기..

정치 이야기 2021.04.02

정당의생명력(박지향교수님) 5장

멍청한 당에서 성공한 당으로 How's friend's 이 현 재 1. 요약(‘멍청한 당’에서 ‘성공한 당’으로) ①19세기 근대적 정당으로 변모한 토리와 휘그는 경제적 차이는 없었으나 토리는 국왕의 권위를 존중하고 국교회를 지지한 반면 휘그는 비국교도들을 수용하며 종교적 관용을 보임. 1830년 토리는 보수당으로 명칭을 변경함. ②토리는 카톨릭교도인 제임스가 영국 왕이 되는 것을 지지하였으나 추후 국교회와 손을 잡고 명예혁명을 추진해 신교도 국왕을 옹립함. 앤 여왕 이후 왕위계승을 놓고 토리는 휘그에 밀려 권력에서 소외되었다가 윌리엄 피트 주니어에 이르러 다시 정국을 장악하며 1)엄격한 법과 질서, 2)급진주의에 대한 혐오, 3)헌정체제의 유지라는 원칙을 성립함. ③영국의 산업화로 중간 계급의 참정권 ..

정치 이야기 2021.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