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s friend's 이 현 재
1. 주요내용(2장.문둥병자가 군주를 불쌍히 여긴다)
①한비자는 군주가 호랑이 같은 신하들에게 겁박을 당하고 목숨을 잃기도 하는 궁중을 배경으로 사고하고 연구하여 텍스트를 남겼는데, 이와같은 글을 많이 남긴 이유는 군주가 ‘정치의 필연성’에 대하여 이해하지 못하고 법치와 개혁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몰락할 것을 경계하는 ‘공포 마케팅’을 하기 위함.
②궁중에서는 아버지, 형제, 자녀는 물론 부인까지 모두 잠재적 적이자, 권력투쟁의 경쟁자들임. 따라서, 한비자는 <비내>편에서 “군주의 화는 다른 사람을 믿는데서 생긴다”고 언급하였는데 대부분의 신하들이 군주의 권력을 두려워 하면서도 권력에 대한 욕심이 강해 군주를 섬기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임. 또한, <유도>편에서는 “늘 경계하고 법으로 엄히 다스리려 하지 않으면 신하는 사적으로 권세를 부리고 공법을 깔보게 된다”고 말함. ③한비자는 ‘중신’이란 말로 궁중의 호랑이를 지칭하며 군주를 잡아먹고 인민과 다른 충성스러운 신하 까지 잡아먹는 호랑이를 경계하고 꼼짝 못하게 제어해야 한다고 함. 또한 그는 <비내>편에서 큰 나라의 군주의 후비, 부인, 적자 가운데 간혹 군주가 일찍 죽기를 바라는 자가 있는데 그것은 자신이 사랑받지 못하게 될까, 자식의 후계자 자리가 위험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에서 온다고 함. ④한비자는 <비내>편에서 ‘군주의 화는 다른 사람을 믿는데서 생긴다. 사람을 믿으면 즉시 그 사람으로부터 제압당하게 된다’라고 함. <비내>라는 것은 궁중사회의 구성원<내>을 경계하고 <대비>하라는 뜻임. 결국, 한비자는 ‘순자’, ‘노자’, ‘장자’, ‘묵자’와 같이 인간에 대해 불신하는 ‘성악론자’에 속하며, 그들은 ‘인간’의 악보다 ‘인간들’의 악, ‘사회’의 혼란과 무질서를 싫어하고 직시하여 해결과 대안을 모색하는 사람들임. 왜냐하면, 혼란과 무질서 속에 하층민과 힘 없는 인민이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임. ⑤한비자는 ‘손자’의 영향을 많이 받아 그의 전쟁철학을 가져와서 궁중철학을 만듬.
2. 비평
한비자의 법가사상은 오나라 궁실에 들어간 ‘손자’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손자’는 군주 ‘합려’로부터 궁녀 200명을 얻어 100명으로 나누어 제식훈련을 시키며 잘 되지 않자 지휘관 궁녀를 죽이는 일을 하여 그들이 숨소리도 내지 않게 훈련시켰는데 이러한 병법이 현대의 자유민주주의체제와는 맞지 않음.
3. 질의
한비자의 법가사상의 배경이 군주가 신하를 믿지 말라고 하는 것이라면, 현실 정치에 있어서 리더가 부하들을 관리하는 올바른 방법에 대한 적용점은?
'정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임건순작가님)_4장.법가사상의 사상적 배경에 대하여 (0) | 2021.08.07 |
---|---|
한비자(임건순작가님)_3장.한나라의 실정에 대하여 (0) | 2021.08.07 |
한비자(임건순작가님)_1장.법가사상의 공간적 배경 (0) | 2021.08.05 |
국가란무엇인가(민경국교수님)13장.프리드리히하이에크 (0) | 2021.06.24 |
국가란 무엇인가(민경국교수님)12장.제임스뷰케넌 (0) | 202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