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임건순작가님)How's friend's 이 현 재
1. 주요내용(3장.죽은 전사의 고아가 밥을 빌어 먹는다)
①한비자의 <궤사>편에서는 농사짓는 농민이 부유한 것이 아니라 조각 그림을 하는 등 말단의 일에 종사하는 사람이 부유하고, 광대나 술시중 드는 무리가 비단옷을 입고 다니지만 죽은 전사의 고아는 굶주려 길에서 빌어 먹는다고 한탄하며, 이처럼 나라가 인민을 보호해주지 못하고 있기에 인민이 위세있는 가문에 의탁해 살아가고 있다고 함. ②한나라는 외적으로는 진나라가 침략해 올 기세가 심하여졌고, 내적으로는 간신들이 충신들을 핍박하는 상태에서 한비자는 진시황을 설득하기 위해 진나라로 가서 조나라가 진나라를 치려하기 때문에 도리어 조나라를 대비해야 하며 한나라는 지금 군주가 치욕을 참고 신하가 고통을 견디며 근심걱정를 함께 하고 있다고 현실과 다른 이야기를 함. ③춘추시대 강대국인 진나라의 대부 지백은 조양자와 한씨 위씨의 연합세력에 의해 죽임을 당했는데 지백의 신하 예양이 주인의 원수를 갚고자 숯을 삼켜 벙어리가 되기도 하고 몸에 옻칠을 하여 나환자가 되기도 함. 조양자는 예양의 충심을 높이 사 한번 놓아주었으나 또다시 자신을 암살하려는 예양을 사로잡게 되었고 예양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옷을 주어 예양이 그 옷을 베어버리고 자결하게 됨. 예양은 자신의 충심에 대해 지백이 자신을 국사로 대접해주었기 때문에 국사로 보답할 뿐이라고 대답함. 이처럼 당시의 지식인은 국경선을 넘어 천하를 돌아다녔으나 한비자의 경우는 이상하게 조국이 있는 지식인이었으며 조국을 위해 진나라에서 목숨을 바침. ④<사기>와 <전국책>에서는 한비자가 조국을 위해 혼을 담아 유세하였지만 진나라 조정에서 ‘한나라를 껴안는 것은 사람 몸속에 중병이 있는 것 같다’고 하며 반박했다고 함. 한비자의 <존한>편에서는 이사의 질투심이라기보다는 한비자를 돌려보내었을 경우 결국 한비자가 계책을 내어서 제나라와 조나라를 묶어 진나라를 대항할 전략을 만들어 진나라가 ‘효새의 환난’을 재차 겪을 것을 우려해 처형한 것임.
2. 비평
‘선비는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죽고 여자는 자신을 기쁘게 해주는 사람을 위해 얼굴을 다듬는다’는 말과 같이 춘추전국시대에 지식인과 사상가들은 국가에 매이지 않고 사람에게 충성하는 개념이 강하였으나 한비자의 경우 국가에 대한 충성이 그 법가사상의 근간이었던 것이 특징으로 발견됨.
3. 질의
현대의 서구 사회계약론에 따른 국가 개념을 가지고 국가를 자신의 이익의 관점에 파악하는 개인주의적 경향 속에서 국가에 대한 충성이 가지는 의미?
'정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임건순 작가님)_5장.법치를 주장하는 이유에 대하여 (0) | 2021.08.09 |
---|---|
한비자(임건순작가님)_4장.법가사상의 사상적 배경에 대하여 (0) | 2021.08.07 |
한비자(임건순작가님)_2장.궁중사회에 대하여 (0) | 2021.08.06 |
한비자(임건순작가님)_1장.법가사상의 공간적 배경 (0) | 2021.08.05 |
국가란무엇인가(민경국교수님)13장.프리드리히하이에크 (0) | 202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