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이야기

[하우스리더십학교] '승리의 시작' 통해 본 리더십 유형 분석

presentlee 2025. 8. 2. 18:52

https://youtu.be/lJena69D32E?si=FlWiK8V1VE08P-_4




1. 개 관
  '승리의 시작'은 '퓨얼웨이 픽쳐스'의 최근 개봉 작품으로 백선엽 장군의 일화를 우리 민족의 비극인 6.25의 상황과 함께 다루면서 백 장군의 6.25 당시의 '리더십'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영화에서 육군대장이었던 김재창은 백선엽 장군을 최초의 4성 장군으로 소개하며 그의 한국전쟁 중 보여준 '리더십'에 대하여 강조하고 있다. 또한, 김병관 대장은 백선엽 장군의 '리더십'을 조용한 스타일로 언급하였고 유용원 의원은 그를 맥아더와 함께 살아있는 전설적 영웅(living legend)로 지칭하였으며, 티럴리 장군은 29세에 사단장을 맡은 백선엽 장군의 '리더십'을 매우 높에 평가하고 있고, 데이비드 맥스웰 아태전략센터 부대표는 백선엽 장군은 6.25전쟁 전체를 경험한 거의 유일한 장성급 인물로 지칭하였다. 동 영화에서 나타난 백선엽 장군의 주요 공적으로는 1)국군 제1사단을 전쟁에서 유리한 입장에서 전투하도록 이끌었다는 부분이었으며, 2)다부동 전투를 승리로 이끌어서 6.25전쟁의 대세를 바꾸어 놓았다는 점, 3)국군 제1사단을 이끌고 평양에 가장 먼저 입성한 장군이었다는 점, 4)지리산에서 공산군을 토벌하였다는 점 및 5)국군과 UN군 사이의 협력을 이끌어내었다는 점을 들고 있다. 이와같은 백선엽 장군의 6.25당시 및 그 이후의 행적을 통하여 그의 '리더십'을 살펴보는 것은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2. 리더십으로의 성장
  영락교회 김운성 담임목사는 1920.11월 평양이 극심한 가난과 굶주림으로 가득하였고, 백선엽 장군의 어머니는 가난을 지속하느니 차라리 목숨을 끊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며 극단적 시도를 하려고 하였으나, 백선엽 장군의 누나가 어머니에게 3년만 버텨보자며 어머니를 설득한 탓에 어머니는 다시 살아가기를 선택하고, 이 후 기도의 여성으로 살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배규한 교수는 백선엽 장군이 어린 시절 독서를 통해 꿈을 꾸고 배움을 키워가게 되었다고 하며, 청년 백선엽은 평양 사범학교에 진학하게 되었으나, 교사가 되는 것에 만족하지 못하여 외할아버지와 같이 군인이 되길 원하여 봉천군관학교에 입학하였고 해방 시에는 중위가 되었다고 한다. 이와같은 백선엽 장군의 어린 시절은 그가 어릴 때부터 '리더십'적인 자질을 갖추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의 아버지는 가정에 성실한 스타일이 아니었는데 아버지와의 관계적 트러블과 함께 어머니로부터의 모성적 사랑, 어려운 가정형편 등은 '리더십'의 토양으로 작용할 수가 있었다. 또한, 그가 스스로 군인이 되고자 어머니를 설득하는 모습과 안정적인 교사라는 신분에서 당시의 불안정적인 정치적 환경 속에서 군인이라는 미래를 직접적으로 선택한 것을 보아도 청년 백선엽은 '리더십'적인 자질을 다분이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전략적 리더십(Strategic Leadership)
  신종태 군사기자는 해방 이후 대한민국은 여순반란 사건 등으로 이념적 충돌이 심각한 상황이었으며, 1949.6월 주한미군이 철수하고 1950년 에치슨라인에서 한국과 대만이 배제됨으로 공산주의에 대해 매우 취약한 환경이 형성되었다고 설명하였다. 군사학자 김칠주에 의하면 북한의 병력은 남한 보다 2배 더 많았을 뿐만 아니라, 북한은 8만명의 정예 장교와 전투기 220대, 242대 전차를 갖추고 있었던 점 등 전쟁 준비에 철저히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백선엽 장군은 1950년 4월 1사단장으로 파주의 파평산 일대에 홀을 파서 남침을 대비하고 있었다. 6월 25일 북한의 기습 남침 이후 전차로 밀고 내려오는 북한군에 대항하여 국군은 수류탄과 지뢰 등으로 육박전을 펼쳤으나 속수무책이었고 순식간에 낙동강까지 밀리는 상황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선엽 장군과 제1사단은 최대한 북한군의 공격을 저지하고, 또한 농촌과 어촌 등으로부터 온 주민들과 학생들까지 합쳐서 영토의 남은 지역을 사수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만약, 백선엽 장군이 이끈 제1사단이 북한군의 남침을 최대한 저지하지 않았다면 UN군이 도착하기 전 한반도는 쉽게 점령되었을 것이다. 즉, 백선엽 장군은 6.25전쟁 초기 최대한 전쟁을 지연시키는 작전을 펼치게 되었고 그 교착점이 다부동이었으며, 백선엽 장군은 다부동 지역을 최후의 저지선으로 바라보고 최대의 국군의 전력을 투입하는 전략을 펼친 것이다. 이것은 백선엽 장군의  '전략적 리더십'의 보여주고 있다.
 
4. 섬김의 리더십(Servant Leadership)
  다부동 전투는 낙동강 전선을 지키기 위한 처절한 전투였는데, 백선엽 장군은 살아 생전 이 곳을 돌아보면서 그 당시의 참혹한 전투 상황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 지역에서 미합동 유골 발굴단이 하루 700명의 유골을 발굴하여 최대 숫자를 기록할 정도로 참혹하였다고 진술하였다. 당시 전투에 참여했던 전자열은 다부동에서의 백병전으로 인하여 바닥에는 시체로 가득하였고 그 썪는 냄새로 인하여 코피가 날 정도였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백선엽 장군은 그 지역을 사수하기 위해 동명초등학교를 본부로 하여 전투를 지휘하였다. 백선엽 장군의 설명에 따르면 김일성은 북한 특수부대를 동명초등학교에 보내어 백선엽을 생포하려고 하였는데 왜냐하면 본부에는 한소대 정도의 인원만이 있었기 때문인데, 마침 500명의 지원군들이 동명초등학교에 도착하였고, 평소같으면 바로 전투에 투입하였으나, 그날 이들이 배고프다는 말을 듯고 돼지 몇마리를 잡아 국을 끓여 먹이고 투입하고자 하루를 같이 보내었다고 한다. 이 때 마침 북한 특수부대가 들이닥쳤고 백선엽장군은돼지국을 먹으려고 같이있었던 500명의 지원군의 도움으로 살 수 있게 되었다. 이와같은 면들은 백선엽 장군이 자신의 따르는 '팔로워'들을 군림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필요를 살피고 도리어 섬기면서 돕는 '섬김의 리더십'을 소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그가 전쟁 이 후에 백선보육원을 운영하며 아이들을 돌본 것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섬김의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은 Greenleaf가 헤르만헤세의  '동방으로의 여행'에서 나온 하인 레오(Leo)의 모습을 통해 이론화 한 것으로 조용하면서도 사람들을 섬기는 종의 행위를 통해 도리어 사람들을 이끄는 리더십 스타일을 의미하며 백선엽 장군의 조용하면서도 위기 속에서 제1사단을 이끈 리더십의 바탕에는 섬김의 리더십이 자리잡고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5. 카리스마적 리더십(Charismatic Leadership)
  다부동 전투가 계속되는 도중 마키엘 27연대가 천평동 계곡 일대를 지키고 있던 중 후방을 밭고 있던 좌측 국군 연대가 보급의 중단과 물자의 부족으로 인하여 후퇴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이 일은 미 27연대가 후방 퇴각로를 빼앗기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중대한 일이었고, 마키엘 대령은 미8군에 연락을 취하게 된다. 이 연락을 받은 미8군은 동명초등학교의 본부사단에 있는 백선엽 장군에게 전화를 하였고, 이 소식을 들은 백선엽 장군은 Jeep차량을 타고 10km를 달려와서 천평동 계곡으로 올라가고, 거기서 후퇴하고 있던 국군들을 바라보자 다급해진 그는 그 자리에서 무릎을 꿇고 기도했다고 한다. 이 후 그는 후퇴하는 군인들을 다 자리에 앉혀놓고 상황을 잘 설명한 후에 자신이 천평동 계곡으로 다시 올라갈테니 만약 내가 후퇴하면 자신을 총으로 쏘라고 이야기하고 곧장 올라갔으며, 이 모습을 보고 동기부여를 받은 국군은 다시 천평동 적진으로 나아가게 된 것이다. 이에 북한군은 지원부대가 온 것으로 착각했고 후퇴하기 시작했으며 전세는 역전되었고 다부동을 사수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백선엽 장군의 모습은 그가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소유한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카리스마적 리더십'은 개인의 특출한 자질에 의하여 강한 지배성을 가지고,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욕망 가운데 리더의 가치관을 강한 자신감으로 나타냄으로 인하여 팔로워가 리더를 자발적으로 따르게 하여 리더의 가치관을 본받게 하는 리더십의 유형을 말한다. 백선엽 장군은 부하들에게 다부동의 사수해야 할 이유를 설명하고 이것이 가장 중요한 가치이며 여기에서 밀리면 대한민국은 희망이 없으며, 다부동을 되찾는 것과 전투에 승리하는 것이 사명이자 충분히 가능한 일임을 역설하고 자기자신이 솔선하여 전투의 현장 속으로 달려나가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몸소 보여주었다.
 
6. 통합적 리더십(Integrated Leadership)
  천평동 계곡에서의 백선엽 장군의 일화가 미군과 UN군에 알려지면서 미군과 UN군은 백선엽 장군과 1사단 그리고 국군을 신뢰하게 되었고, UN군의 지원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낙동강에서의 북한 진지는 무너지게 된다. 한편, 1905.9.15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인하여 미10군이 서울을 탈환함으로 인하여 남한 지역이 다 수복되고, 국군은 UN군과 함께 북으로 진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맥아더의 명령으로 밀번 군단장은 UN군이 먼저 평양을 탈환하고자 하였으나 이 소식을 들은 백선엽 장군은 밀번 군단장을 찾아가 눈물로 호소하며 국군 제1사단이 평양을 먼저 탈환하지 못하면 이것이 천추의 한이 될 것이라고 하며 1사단이 불철주야로 행군하여 먼저 평양을 탈환하겠다고 요청하였다. 결국 백선엽의 부탁에 밀번은 작전을 바꾸고 1사단은 매일 25km씩 진격하여 UN군보다 먼저 평양을 탈환하게 되었다. 이 때의 기분에 대하여 백선엽 장군은 알렉산더와 징기스칸이 부럽지 않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백선엽 장군의 '통합적 리더십'을 잘 보여주고 있다. '통합적 리더십'(Integrated Leadership)이란 리더와 팔로워간의 상호 돌봄과 균형, 조화를 통해 리더십 구성단위의 통합을 이루어가며, 리더의 순수한 카리스마 영향력과 권한의 위임, 팔로워의 자율성의 존중을 통해 조직의 가치와 목표를 구성원의 연결과 의사소통 과정을 거쳐 공동체적으로 이루어가는 리더십의 연합 행위모습을 뜻한다. 백선엽 장군은 국군과 미군을 포함한 UN군과의 형식적을 넘어선 실질적인 신뢰와 연합을 이루어 내었으며, 결국 자유 민주 공화 진영의 연합을 통합적으로 이루어 대한민국을 공산 이데올로기로부터 지키고 전선을 북진시키는 결과를 이루어 낸 것이다.
 
7. 종합(변혁적 리더십과 Dark Side의 융합 이해)
  본 영화에서 백선엽 장군은 살아생전 '대한민국이 없으면 나는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하며, 또한 '자신은 살아 생전 좋은 대우를 받지만 사실 영웅은 자신의 명령을 따라 전투를 수행하다 목숨을 잃은 부하들이다'라는 말을 자주 했다고 한다. 이처럼 백선엽 장군의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을 가진 인물이었다. '변혁적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의 개념과 대비하여, 팔로워의 잠재력을 개발 및 향상시키고 동기를 유발하여 팔로워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조직의 목표와 동일시하며, 조직의 목표실현을 위해 나아가도록 비전설정, 목표 달성 지원, 재량권의 허용 등의 각종, 지적 감정적 도구를 이용하여 팔로워를 이끄는 행위양태를 말한다. 백선엽 장군은 국군 1사단이 낙동강 방어선 저지를 위해 다부동을 사수할 뿐만 아니라 평양을 탈환하고 두만강까지 진격하는 비젼을 세우고 이 일에 앞장섬으로 인하여서 부하들에게 동기부여를 하며(Inspirational Motivation), 현 대한민국과 국군의 상황을 잘 설명하고(Intellectual Stimulation),  부하들 한 사람 한사람을 돌보는 모습(Individual Consideration)을 통해 부하들이 자발적으로 백선엽 장군을 따르게 하였다(Charisma). 물론 백선엽 장군의 간도 토벌 일본군에 입대한 것으로 친일에 대한 많은 비난이 있다. 이것은 '변혁적 리더십'의 부작용(Dark Side)에 해당한다고 보여지며, 카리스마적 리더십에 있어서 나타나는 하나의 부정적 결과이다. 이와같이 '변혁적 리더십'의 부정적 측면들을 잘 이해하고, 그것을 해결해나갈 수 있는 방안을 찾아가며 21세기 4차산업혁명에 적합한 올바른 '리더십'을 정립시키는 것은 앞으로 대한민국을 변화시켜나가야 할 우리들이 몫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측면에 이 영화는 대한민국의 수립부터 지금까지를 이끌어온 우리의 리더십들을 돌아보며 앞으로의 대한민국의 '승리의 리더십'의 상을 정립해나가는 계기가 된 것이라고 보여진다.
 

1. Overview

"The Beginning of Victory," a recently released film by Fuelway Pictures, combines the story of General Paik Sun-yup with the tragic circumstances of the Korean War, effectively demonstrating his leadership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film, Army General Kim Jae-chang introduces General Paik as the first fourstar general and emphasizes his leadership during the Korean War. Furthermore, General Kim Byung-kwan quietly praises General Paik's leadership. Representative Yoo Yong-won calls him a living legend, along with MacArthur. General Tyrally highly praises General Paik's leadership, having assumed command of a division at the age of 29. David Maxwell, Vice President of the Asia-Pacific Strategy Center, describes General Paik as virtually the only general-level figure to have experienced the entire Korean War. The film highlights General Paik Sun-yup's key achievements: 1) leading the ROK 1st Division to a favorable position in the war; 2) leading the victory at the Battle of Tabu-dong, which changed the course of the Korean War; 3) leading the ROK 1st Division to the first entry into Pyongyang; 4) suppressing communist forces at Jiri Mountain; and 5) fostering cooperation between the ROK and UN forces. Examining General Paik Sun-yup's "leadership" through his actions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is thus of great significance.
 
2. Growth into Leadership

Rev. Kim Unseong, senior pastor of Yeongnak Church, stated that in November 1920, Pyongyang was rife with extreme poverty and starvation. General Paik Sun-yeop's mother, believing that taking her own life would be better than continuing her poverty, was on the verge of suicide. However, General Paik Sun-yeop's older sister persuaded her mother to endure for three years, and she chose to live again, becoming a woman of prayer. Professor Bae Gyu-han also stated that General Paik Sun-yeop's childhood reading led him to dream and cultivate his learning. Young Paik Sun-yeop entered Pyongyang Normal School, but dissatisfied with being a teacher, he desired to become a soldier like his maternal grandfather. He enrolled in Bongcheon Military Academy, and by liberation, he had attained the rank of second lieutenant. These accounts of General Paik Sun-yeop's childhood demonstrate that he possessed leadership qualities from an early age. Furthermore, his father was not a devoted family man. The relationship troubles with his father, along with the maternal love from his mother and the difficult family circumstances, could have served as a breeding ground for "leadership." Furthermore, judging by his efforts to persuade his mother to join the military and his direct choice of a military career despite his stable position as a teacher amidst the unstable political climate of the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young Baek Seon-yeop possessed considerable leadership qualities.

3. Strategic Leadership

Military journalist Shin Jong-tae explained that after liberation, South Korea was in a state of serious ideological conflict, particularly due to the Yeosu-Suncheon Rebellion. The withdrawal of US troops from Korea in June 1949 and the exclusion of South Korea and Taiwan from the Acheson Line in 1950 created an environment highly vulnerable to communism. According to military scholar Kim Chilju, North Korea not only had twice as many troops as South Korea, but also possessed 80,000 elite officers, 220 fighter jets, and 242 tanks, demonstrating thorough preparations for war. Amidst this situation, General Paik Sun-yup, commander of the 1st Division, dug a trench in the Papyeong Mountain area of Paju in April 1950, preparing for a possible invasion. Following the surprise attack by North Korea on June 25th, South Korean forces engaged in close combat with grenades and landmines against the advancing North Korean forces, but were quickly pushed back to the Nakdong River. Nevertheless, General Paik Sun-yup and the 1st Division did their best to repel the North Korean attack and, with the help of residents and students from rural and fishing villages, worked tirelessly to defend the remaining territories. Had General Paik Sun-yup's 1st Division not made such a concerted effort to repel the North Korean invasion, the Korean Peninsula would have easily been occupied before the arrival of UN forces. In other words, General Paik Sun-yup, in the early stages of the Korean War, pursued a strategy to delay the war as much as possible, with Dabudong as the stalemate point. General Paik viewed the Dabudong area as the final line of defense and deployed the maximum force of the ROK Army there. This demonstrates General Paik Sun-yup's "strategic leadership."

4. Servant Leadership

The Battle of Dabudong was a fierce battle to defend the Nakdong River front. General Paik Sun-yup, while still alive, recounted the gruesome battle, stating that the joint US-ROK excavation team excavated 700 remains in one day, a record high. The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battle recounted that the ground was littered with corpses from the close combat in Dabudong, and the stench of rotting bodies caused nosebleeds. Under these circumstances, General Paik Sun-yup commanded the battle from Dongmyeong Elementary School, the headquarters of which served as the defense headquarters. According to General Paik Sun-yup, Kim Il-sung dispatched North Korean special forces to Dongmyeong Elementary School to capture him. This was because his headquarters only had the size of a single platoon. However, 500 reinforcements arrived at the school. Normally, he would have immediately deployed to battle, but hearing they were hungry, he slaughtered several pigs, cooked soup, and spent the day with them before deploying. It was at this point that North Korean special forces stormed in, and General Paik Sun-yup survived thanks to the 500 reinforcements who had been there to eat the pig soup. These aspects demonstrate that General Paik Sun-yup possessed a "servant leadership" style, not one that sought to dominate his "followers," but rather one that cared for their needs and served them. This is further evidenced by his care for children at the Baekseon Orphanage after the war. "Servant Leadership" was theorized by Greenleaf based on the character of Leo, a servant from Hermann Hesse's "Journey to the East." It refers to a leadership style that leads others through quiet, servant-like behavior. General Paik Sun-yup's quiet leadership, which led the 1st Division through a crisis, appears to have been rooted in this style of leadership.

5. Charismatic Leadership

During the ongoing Battle of Tabu-dong, while Maciel's 27th Regiment was defending the Cheonpyeong-dong Valley, the ROK regiment on the left flank retreated due to a supply disruption and material shortage. This was a critical event, as it could have resulted in the US 27th Regiment losing its retreat route, and Colonel Maciel contacted the US 8th Army. Upon receiving this call, the US 8th Army called General Paik Sun-yup at the headquarters division at Dongmyeong Elementary School. Upon hearing this, General Paik rode 10 kilometers in a Jeep up the Cheonpyeong-dong Valley. Upon seeing the retreating ROK troops, he became desperate and knelt in prayer. He then gathered the retreating soldiers, explained the situation, and declared that he would return to the Cheonpyeong-dong Valley. If he retreated, they were to shoot him. Motivated by this, the ROK troops advanced again, advancing toward the enemy lines in Cheonpyeong-dong. The North Korean troops, mistakenly believing reinforcements had arrived, began to retreat, turning the tide of the battle and securing Dabu-dong. General Paik's actions demonstrate his "charismatic leadership." "Charismatic leadership" refers to a type of leadership where a leader possesses strong dominance based on his or her exceptional qualities, desires to influence others, and displays a strong sense of self-confidence in the leader's values, leading followers to voluntarily follow the leader and emulate the leader's values. General Baek Seon-yeop explained to his subordinates why they must defend Tabudong, emphasizing that this was the most important value, that if they were to fall behind here, the Republic of Korea would have no hope, and that reclaiming Tabudong and winning the battle was both a mission and a feasible task. He personally demonstrated "charismatic leadership" by taking the lead and running into the battlefield.
 
6. Integrated Leadership

As General Paik Sun-yup's anecdote at the Cheonpyeong-dong Valley spread to the US and UN forces, they came to trust General Paik, the 1st Division, and the ROK Army. With the UN's support fully underway, the North Korean positions along the Nakdong River collapsed. Meanwhile, on September 15, 1905, General MacArthur's Incheon Landing Operation led to the US 10th Army's recapture of Seoul, reclaiming all of South Korea. The ROK Army advanced northward alongside the UN forces. During this process, under MacArthur's orders, Corps Commander Milburn sought the UN forces' first attempt to recapture Pyongyang. Upon hearing this, General Paik visited Milburn and tearfully pleaded with him, stating that if the ROK 1st Division failed to recapture Pyongyang first, it would be a regret for eternity. He requested that the 1st Division march day and night to recapture Pyongyang first. Ultimately, at Paik Sun-yup's request, Milburn changed his strategy, and the 1st Division advanced 25 kilometers a day, recapturing Pyongyang before the UN forces. General Paik Sun-yup remarked that he felt no less envious of Alexander the Great and Genghis Khan. This attitude exemplifies General Paik Sun-yup's "integrated leadership." "Integrated leadership" refers to a form of leadership that integrates leadership units through mutual care, balance, and harmony between leaders and followers. Through the leader's pure charismatic influence and delegation of authority and respect for the autonomy of followers, the organization's values and goals are collectively achieved through connections and communication among members. General Paik Sun-yup achieved a level of trust and alliance that transcended formality with the ROK and UN forces, including the US military. Ultimately, he unified the free democratic republican coalition, protecting the Republic of Korea from communist ideology and advancing the front line northward.

7. Synthesis (Understanding the Converg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Dark Side)

In this film, General Paik Sun-yup frequently said, "Without the Republic of Korea, I am nothing," and also, "I may be well-treated while alive, but the real heroes are my subordinates who died fighting under my orders." Thus, General Paik Sun-yup's leadership style embodi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contrast to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fers to a behavioral approach that utilizes various intellectual and emotional tools, such as vision setting, goal achievement support, and discretionary authority, to develop and enhance followers' potential and motivate them to voluntarily identify their own goals with the organization's goals and move toward achieving them. General Paik Sun-yup not only defended Tabu-dong to block the Nakdong River defense line, but also developed a vision for the 1st Division to recapture Pyongyang and advance to the Tumen River. By leading this effort, he motivated his subordinates (Inspirational Motivation), explained the current state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OK Army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cared for each individual (Individual Consideration), leading them to voluntarily follow him (Charisma). Of course, General Paik Sun-yup's enlistment in the Japanese army in the Gando campaign has drawn widespread criticism for his pro-Japanese activities. This is seen as a dark sid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 negative consequence of charismatic leadership. It is our responsibility, as the leaders of the Republic of Korea, to fully understand the negative asp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ind ways to address them, and establish sound leadership sui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21st century. In this respect, this film serves as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 leadership that has led the Republic of Korea from its founding until now and to establish the image of the future 'victory leadership' of the Republic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