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514

어떻게바꿀것인가(강원택교수님)2-1장.

어떻게바꿀것인가(강원택교수님) How's friend's 이 현 재 1. 주요내용(2-1장. 왜 내각제인가) ①대통령제가 미국 건국의 주역들이 모여 만들어낸 제도(invention)라면, 내각제는 대립과 타협이라는 역사적 과정을 통해 진화해온 제도(evolution)임. 내각제에서 행정부는 의회의 신임에 기초하기 때문에 의회 내 다수파로부터 지지를 얻지 못하면 유지될 수 없으며, 총리는 내각에 대한 불신임 권한을 가지면 내각과 의회 상호 간 견제를 통해 정치적 갈등을 해소하는 메커니즘에 해당함. ②우리나라에서 제헌국회에서 최종 결정된 통치 형태는 대통령제였으나 헌법기초위원회에서 애당초 합의했던 원안은 내각제였음. 이승만대통령이 1948년 6월 15일 헌법기초위원회에 출석해 내각제에 강력히 반대하였고 한민..

정치 이야기 2021.09.27

어떻게 바꿀 것인가(강원택교수님) 1강.수퍼맨 대통령과의 이별을 고하며

How's friend's 이 현 재 1. 요약(1장 슈퍼맨 대통령과의 이별을 고하며) ①단임제 대통령제는 일방적인 국정운영을 할 위험이 있으며 정치적 책임을 대통령에게 물을 수 없음. 또한, 임기 중 추진한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기에는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5년 동안 대통령이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며 내각제와는 달리 대통령 간에는 ‘단절적’이기 때문에 계승의 정치가 아닌 부정의 정치가 이루어짐. ②1950년에서 1980년까지 미국, 남미, 유럽 국가들을 대상으로 각료의 ‘재임명 비율’을 내각제와 대통령제 하에서 비교하였을 경우 내각제가 3배 가량 높게 나타나며 재임기간은 2배 가량 높음. 그러나, 과거 한국정치의 어두웠던 측면을 고려할 경우 장기 집권을 위해서는 집단이 통치하는 내각제가 적합함(..

정치 이야기 2021.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