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510

한비자(임건순작가님) 22장. 구세지사의 다짐

한비자(임건순작가님)How's friend's 이 현 재 1. 주요내용(22장.군생의 어지러움을 구해 천하의 화를 없앤다) ①성리학자인 ‘펑유란’(풍우란)은 다른 성리학자와는 달리 한비자를 높이 평가하여 “한비의 무리는 ‘법술을 수입하고 제도를 설정하면’ 충분한 인민의 이익과 서민의 안녕을 도모할 수 있다고 고취했는바, 역시 적극적인 ‘구세의 선비’라 할 수 있겠다”고 함. ②신도의 책 의 마지막 편에서는 인민의 생명을 네 번이나 얻게 해주자고 하는데 1)전쟁이 사라지고 치안이 안정되면 첫 번째 생명을 얻고, 2)각자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하면 두 번째 생명을 얻으며, 3)통치를 늘 신뢰하며 살고 안정된 법치가 유지되면 세 번째 생명을 얻고, 4)합리적으로 부역이 부과되고 행정이 돌아가면 네 번째 생명을 ..

정치 이야기 2021.08.22

한비자(임건순작가님) 21장. 법에 대하여

한비자(임건순작가님)How's friend's 이 현 재 1. 주요내용(21장.삶을 즐기지 못하면 존중받지 못한다) ①한비자는 ‘법이라는 것은 내건 명령이 관청에 명시되어야 하고 형벌은 반드시 인민의 마음속에 새겨져야 한다’고 하여 철저히 국가규범의 객관성을 지향함. 유가는 주관주의를 말했지만 주관주의는 절대 안될 말이며 문자화 활자화는 국가 규범을 만드는 데 있어 기본임. 그러므로, 한비자는 ‘필지’와 함께 ‘필벌’도 주장하여 법을 어기면 무조건 적발하여 누구든 처벌받을 수 있음을 알게 해야 한다고 함. ②‘명철한 사람이라야 능히 알 수 있는 것을 영으로 삼을 수는 없다’라는 말과 같이 법을 성문화해 공포하며 ‘가지’성도 있어야 함. 법이 선량한 인민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라는 측면에서 법가 사상가들은 ..

정치 이야기 2021.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