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혁적리더십 60

[하우스리더십학교] 제25-4강 리더십강의-42(행정리더십)

https://youtu.be/SUxAzYk9KYo?si=0YY9cxO2SKLTqhwk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4부 거래적 리더십 □ 요약(제14-2장 행정 리더십 : 드골Ⅱ)①‘드골’의 정치력은 전통적인 정치적 제도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자기확신과 불굴의 의지라는 자신만의 자산에서 나온 것이며, 프랑스 국민과의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접촉에서 비롯된 것임(p612). 처음에 그는 자신의 인성을 완벽히 이용했는데, 후에 장군 ‘스타일’이라고 불리게 된 이러한 인성활용은 ‘도로시 피클’(Dorothy Pickles)에 의하면, “공직의 위엄이란 개념도 포함한 것이었다. 또한 장관회의를 주재하는 의장으로서, 공동체 의장으로서, 해외 방문시 국가대표로서 혹은..

리더십이야기 2025.01.26

[하우스리더십학교] 제25-3강 리더십강의-41(중심적입법리더십)

https://youtu.be/gCzcS0aMopM?si=gEvekYLWJp5CqbLB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4부 거래적 리더십 □ 요약(제13-8장 입법 리더십 : 중심적 입법 리더십)①의회 리더십 잠재력의 대부분은 의원 개개인의 활동을 통해 달성되는 것도 아니며, 파벌에서 활동적이고 위원회 조직에 안치된, 집단지향적 의원들의 집합 노력을 통해 달성되는 것도 아닌 것처럼 보임(p599). 중개와 타협은 있으나 ‘변혁적 리더십’은 없는데, 이 견해의 대부분이 20세기의 경험과 지각의 산물이며, 1세기 전의 사람들은-적어도 의회민주주의 국가에서는-입법부를 ‘집단적 국가 리더십’의 서식처로 보았는데, 사람들은 야심찬 웅변가들의 현하지변을 들음. 어린 ..

리더십이야기 2025.01.19

[하우스리더십학교] 제25-2강 리더십학교-40(그룹리더십)

https://youtu.be/WzSzCxVBbZQ?si=p2Dprb49rd8SXvcg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4부 거래적 리더십 □ 요약(제13-5장 입법 리더십 : 그룹 리더십과 입법구조)①의회 집단과 파벌에 대한 주된 시각은 근본적으로 외부권익, 요컨대 한때의 추종자들에 의해 좌우되는 의원들의 집합이라는 것인데, ‘매디슨’은 “의원들을 각각 구분짓는 것에 그들이 결정한 대의명분에 대한 지지외에 무엇이 또 있겠는가”라고 말함(p589). 수십 년 동안 의회의 보편적인 이미지(미국뿐 아니라 모든 나라의 의회)는 “금전등록기인 양 힘의 부가와 감소를 기계적으로 계측하고, 아무 생각 없이 갈등중인 집단들 사이에서 무게만 재고 있는 모양”이었다고 ‘래덤’..

리더십이야기 2025.01.12

[하우스리더십학교] 제25-1강 리더십학교-39(의회리더십)

https://youtu.be/_5SKvb-7bNE?si=znLXTlDzC4qwovlu 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4부 거래적 리더십 □ 요약(제13-3장 입법 리더십 : 영국 평의원)①의회의 ‘리더’는 의원들을 감시하고 정당조직을 통하여 국가와 지방정부 모두에 적용되는 당근과 채찍을 현명하게 잘 배합함으로써 그들을 잡아둘 수 있는데, 의원의 ‘리더십’ 역할에 대한 이 같은 인식은 광범위한 경험적  자료에 의해 확인되었으나, 의원들의 역할에 대한 폭넓은 개념-또는 잠재적 역할-은 특히 의원 역할에 대한 의원 스스로의 인식에서 나타남(p578). 의원들은 의회제도 자체에 대한 많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의회를 계속 존립할 수 있는 기관으로 보았으며, 비록 낡..

리더십이야기 2025.01.05

[하우스리더십학교] 제53강 리더십강의-38(입법리더십)

https://youtu.be/QJWyIdAZgw8?si=9ZDt3wM_atRc4WbH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4부 거래적 리더십 □ 요약(제12-15장 정당 리더십 : 정당-리더십의 구조물)①정당은 정치체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그렇지만 정치적 변화가 꼭 근본적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근본적 변화라는 것은 일반대중이 보고, 느끼고, 맛볼 수 있으며 그리하여 자신들의 삶을 재구성할 수 있는 변화를 의미함(p566). 진정한 변화를 이끌어냄에 있어 정당의 영향력은 얼마나 대단한가? 여기에 다분히 잠정적인 해답이 있는데, 먼저 문제부터 분명히 해야 함. 변화의 척도는 무엇인가? 이는 ‘정당 리더’들이 공약한 변화인가, 아니면 보다 객관..

리더십이야기 2024.12.29

[하우스리더십학교] 제52강 리더십강의-37(일당체제의 리더십구조)

https://youtu.be/XHhe-pH_Pzo?si=MY25Ztc83rXjkJkTHouse Leadership School리더십강의(제임스맥그리거번스) 제4부 거래적리더십□ 요약(제12-12장 정당 리더십 : 일당체제 리더십 구조)①서유럽 공산주의 정당들은 딜레마에 따질 수밖에 없었는데, 열성 공산당원이었던 그 ‘리더’들은 레닌주의적 기구를 통해 근복적인 사회개혁 추진을 모색하였으며, 제2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모든 의회주의 사회주의자들에게 그들은 결코 “여타 입법위원들의 이해를 구하는 것을 기본 방침으로 삼는” 입법위원들이 아니며 “당의 결정을 적들 가운데서 관철시키는” 당의 선동가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함(p555). 다른 한편, 공산주의 ‘리더’들은 정치권력이 수개의 정당들 사이에 분점되고 분..

리더십이야기 2024.12.22

[하우스리더십학교] 제51강 리더십강의-36(미국,러시아 정당리더십)

https://youtu.be/kiFhm9z97IQ?si=5w-4j8zkLxwr008N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4부 거래적 리더십 □ 요약(제12-9장 정당 리더십-프랑스, 호주 정당의 리더십 구조)①급진당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재건되어 일부 참신하고 젊은 ‘리더’들로 어필하기도 하였으나, 다시 한 번 오랜 약점들-지도부 분열, 무정형적인 노선, 확고하지 못한 당기(黨紀), 과도한 타협주의 등-이 노출됨으로 드골주의자들에게 특히 취약할 수밖에 없음(p543). 프랑스 급진당과 아주 대조적인 위치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그 세력과 노선을 확립했던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인데,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동질적인 사회 내에서 전투적..

리더십이야기 2024.12.15

[하우스리더십학교] 제50강 리더십강의-35(정당리더,정부리더)

https://youtu.be/ZlB_J8C15-M?si=KMgOqev5RKGTGRMU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4부 거래적 리더십 □ 요약(제12-6장 정당 리더십 : 체임벌린, 윈스턴 처칠)①의회주의적인 ‘리더십 원칙’은 자유당이 전성기를 누리던 시절에도 마찬가지였는데, 휘그당 출신 지도부는 그러한 원칙에 대한 직접적 도전을 성공적으로 격퇴했으며, 그리하여 중산계급과 노동계급에서 점점 더 많은 투표권을 얻어감에 따라, 의회의 자유당 의원들은-보수당 의원들과 마찬가지로-그들이 당정책과 웨스트민스터를 주무를 수 있는 자유를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자신들의 대중적 지지를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는데, 그들은 불가피한 딜레마에 봉착하였음(p533). 대중들의 ..

리더십이야기 2024.12.08

[하우스리더십학교] 제49강 리더십학교-34(정당갈등과 리더십)

https://youtu.be/idXYtTBxMIM?si=GWJ1_8T_jzdRfL7T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4부 거래적 리더십 □ 요약(제12-2장 정당 리더십 : 궁정정당, 재야정당)  ①‘정당 리더’들이 선거 지원을 위해 놓은 선거대책위와 그 외 조직들도 투표자들이 의회 지도자들과 국무위원들의 연계 속에서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는데, 이 때 대세는 특히 좌익 쪽으로 기울었음(p522). 투표권을 늦게 취득한 계층은 저소득층인 경우가 많았고, 그들은 여타 구정당 엘리트들이 자신들을 지지하는 소규모 ‘집단 리더’들에게 약속했던 후원 이상의 것을 정부에 바라고 있었는데, 새로이 대규모로 등장한 유권자들은 ‘정부 차원의 대책’을 요..

리더십이야기 2024.12.01

[하우스리더십학교] 제48강 리더십학교-33(정당리더십)

https://youtu.be/KQcSX0BM_u0?si=z8Vn6l8U8OsbS95U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4부 거래적 리더십 □ 요약(제11-7장 집단 리더십:협상자형과 관료형-정치적이익집단의 리더십)①‘리더십’은 지도자 개인의 활동이 아니며, 그것은 근본적으로 집단활동이라고 1908년 출간된 세미나 자료에서 일반적인 ‘리더십’ 개념에 일침을 가하여 ‘벤틀리’(Arthur Bentley)가 언급하였음(p510). ‘벤들리’에게 ‘리더십’의 주된 부분은 ‘리더’가 아니라 일단의 집단들로, 이러한 집단들은 여타 집단을 리드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되어 있고, 특정 시기에 한 전문집단이 여타 집단을 리드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은데, 집단들은 ‘리더’들이 이러..

리더십이야기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