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혁적리더십 60

[하우스리더십학교] 제26강 리더십강의-11(야심의배태)

https://youtu.be/y_rjNwGBY8U?si=4jv0xc33HOXvYyYd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 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2부 리더십의 기원 □ 요약(제5-4장 정치적 리더십의 형성과정 : 야심의 배태_루스벨트) ①존경에 대한 욕구가 언제나 병적인 것은 아니며, 어떤 사람들은 단지 커다란 갈망을 가졌을 뿐인데, 비전체주의적 국가의 권력 그 자체만큼이나 멋진 외양을 즐기려 한다는 것은 대통령 등을 관찰해 온 사람들이 오래 전부터 이야기해 온 것임. ‘비스마르트’처럼 타인과 사건들을 지배하려는 부단한 충동, 즉 권력에의 의지가 두드러진 사람들도 여전히 존재하고, 어떤 사람들은 타인들에게 봉사하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하는데, 의문점은 자기 만족이나 그 밖의 만..

리더십이야기 2024.06.22

[하우스리더십학교] 제25강 리더십학교-10(정치적리더십)

https://youtu.be/01KrnON40ZE?si=YM8GD9SoSjHqJMAR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 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2부 리더십의 기원 □ 요약(제5-1장 정치적 리더십의 형성과정 : 야심의 배태_간디) ①‘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일곱 살 때일 즈음 “예절 바른 규칙을 무시하고 부모님의 침실에서 그들이 보는 앞에서 소변을 보았던 적이 있다. 아버지는 꾸짖으면서 ‘이놈은 실패하고 말 거야’라고 말했다. 이 사건은 분명히 나의 이상에 무서운 타격(모욕)이었다. 왜냐하면 아직도 나의 꿈속에서 이 장면과 관련된 일들이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이 장면들은 나의 성취 및 성공들과 언제나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라고 기술하고 있음. 정치지도자들이 ‘프로..

리더십이야기 2024.06.16

[하우스리더십학교] 제23강 리더십강의-8 (정치적 학교교육)

https://youtu.be/ZCijSQRcQAE?si=kOHy3nWdwXsKuq3_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 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2부 리더십의 기원 □ 요약(제4-2장 리더십의 사회적 원천 : 정치적학교교육_대통령 이미지) ①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최근 몇십 년간 공식적인 학교교육은 정치적 태도와 행동을 형성하는데 중심이 된다는 것을 보여왔는데, 50년 전 ‘메리엄’ (Charles Merriam)은 8개국가에 대한 조사에서 ‘학교’를 시민교육을 형성하는 주요 도구라고 부르며, “공립학교는 미국에서 정치적 사회화의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도구이다.”라고 함(p141). ‘알몬드’와 ‘버바’는 다섯 국가에 대한 연구에서 정치적 태도에 영향을 주는 데 교육에 견줄 만한 변수..

리더십이야기 2024.06.01

[하우스리더십학교] 제22강 리더십강의-7(국가로서의가족)

https://youtu.be/OVY3JRUjxIk?si=Ehhu-MX6pSwt_ENeHouse Leadership School 리더십 강의(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제2부 리더십의 기원 □ 요약(제3-5장 리더십의 심리학적 기반 : 욕구 및 가치의 계층) ①아이들은 자신이 속한 무리의 통념적 도덕성에서 출발하여 더 큰 집합체에서 더 넓고 더욱 의식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가치관으로 발전해 나가는데, 성장 초기단계의 도덕성은 리더와 추종자에게 영향을 주는 이념적 기초가 되는데, ‘윌슨’이 어렸을 때 그의 아버지가 다니던 교회에서 접했던 ‘장로교 신자로서의 양심’(Presbyterian conscience)은 대통령 재임기간 동안 개인의 행동에 계속 영향을 주었으며, ‘에릭슨’은 “도덕성은 비교적 오래 지속되지..

리더십이야기 2024.05.26

[하우스리더십학교] 제19강 리더십강의-4(갈등과의식)

https://youtu.be/xJ7PA0xJsYA?si=KjIMmYlpbxHvrDKnHouse Leadership School □ 요약(제2장-도덕적 리더십의 구조 : 갈등과 의식-갈등) ①‘리더십’이란 지도자들이 추종자들과 공유하는 동기와 가치 및 목표를 바탕으로-지도자들 및 추종자들의 ‘진정한’ 요구를 기초로-의기투합하는 하나의 도덕적 과정임(p82). 친구, 친척, 선생님, 공무원, 정치인, 장관 그리고 그 외의 사람들은 다양한 종류의 이니셔티브를 취하겠지만, 추종자들의 진정한 요구가 무엇인지를 정의할 수 있는 사람들은 그들 자신임. 추종자들은 경쟁하는 예비 지도자들이 제시하는 현실진단, 주장, 가치가 무엇인지를 알며, 추종자가 예비지도자들의 ‘처방’에 대한 정보가 충분한 상태에서 선택할 수 있을..

리더십이야기 2024.05.05

[하우스리더십학교] 제17강 리더십 강의-2(리더십과 권력)

https://youtu.be/F2lDo0vvyWc?si=RFfbRlvhOAv9V1np House Leadership School □ 요약(제1장-리더십과 권력:관계-relationship) ①우리는 마치 ‘리더십’을 새장 속에 집어넣고 길들이려고 애쓰거나, 그것에 매혹되거나 기분이 좋아지기도 하며, ‘리더십’에 대한 책들을 탐독하기도 하고, 권력전문가들은 ‘주위에 있는 모든 것’에 대해 ‘완전한 지배권을 얻는’ 방법이 무엇인지 가르치기도 하며, 위대한 인간을 돕는 보조자들의 권력을 그들의 사무실과 제1인자 사무실 사이의 거리로 측정하기도 함(p35). ‘버틀러’(Samuel Butler)가 이미 쓴 바와 같이, 과거에는 권위가 권력자를 “경박하고 교만하며 가치없는” 존재로 만들었지만, 오늘날 권위는 권..

리더십이야기 2024.04.20

[하우스리더십학교] 역사를 바꾸는 리더십(제15강)

https://youtu.be/cVNQv16m16A?si=KQgioSBB8f3xT6bP House Leadership School □ 요약(13-2장 민중의 힘 : 생명, 자유, 그리고...) ①‘생명’이란 무엇인가? 상속받은 사람들의 주요 과업은 물려받은 유산과 자신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며, 그러기 위해 사람들을 지배하고 있는, 불안과 폭력이 난무한 시대에는 더욱 그러한 가장 강력한 가치인 ‘질서’에 의존하며, ‘안보’라는 가치를 순차적으로 포용하게 되는데 국가의 안위와 사람들의 생명을 가리키는 것이며, 상속자들은 이 최고의 가치가 결핍되면 다른 가치가 아무리 인간주의적인 것이라도 생각할 수 없다고 함(p311). 문제는 ‘안정성’인데 정치학자 ‘찰머스 존스’(Chalmers Johnson)에 따르..

리더십이야기 2024.04.06

[하우스리더십학교] 역사를 바꾸는 리더십(제13강)

https://youtu.be/jBBOR0Hw4Hw?si=MCGBjevvFzQivlQi House Leadership School □ 요약(10-4장 지도자-추종자 패러독스 : 연대맺음에서 힘 실어주기로) ①1936년 어두운 필라델피아의 밤 ‘루스벨트’는 대통령후보직을 수락하면서, 그는 “나는 당신들이 내게 부여한 임무를 받아들입니다. 나는 당신들과 함께 할 것입니다. 나는 전쟁에 차출된 것입니다.”라고 하였는데, ‘당신들과 함께’라는 말은 그와 수천만 명의 미국인들을 잇는 거대한 경제적․사회적․정치적 과정을 요약하여 표현한 것이었는데 곧 대통령과 국민 사이의 ‘서사적 연대맺음’(engagement)이었음. 이것이 잠재적 지도자가 제시한 연대맺음의 조건에 국민들이 동의하는 행위를 설명할 수 있을까? 반대..

리더십이야기 2024.03.23

[하우스리더십학교] 역사를 바꾸는 리더십(제12강)

https://youtu.be/MZqSaC-PnJI?si=t8412YyHUYr5J768 House Leadership School □ 요약(10-1장 지도자-추종자 패러독스 : 지도자로서의 추종자) ①‘국민’이란 말은 미국 헌법에서 처음으로 사용됨. 미국 독립선언서는 “어떤 형태의 정부든지 특정한, 양도 불가능한 권리를 침해할 경우 국민이 그 정부를 바꾸고 붕괴시킬 권리를 가지고 있음”을 명시하였음. ‘링컨’대통령은 국민의, 국민을 위한, 국민에 의한 정부는 지구상에서 사라질 수 없음을 주장함(p236). 그러나, ‘국민’이라는 정해진 실체가 없으며 성, 나이, 계층, 지역, 수입, 교육, 문화관, 민족적 혈통, 종교, 이념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는 것을 모두가 알고 있음. ‘제임스 메디슨’은 파당의 잠재..

리더십이야기 2024.03.16

[하우스리더십학교] 역사를 바꾸는 리더십(제11강)

https://youtube.com/watch?v=1aloMBUXIFA&si=-DVm6Mn7jMr_4T9N House Leadership School □ 요약(11-1장 갈등과 리더십의 무장 : 갈등 개념을 둘러싼 갈등) ①‘위대한’ 또는 ‘위대한 대통령에 가깝다.’라고 평가받는 미국 대통령 중 ‘링컨’, ‘윌슨’, ‘프랭클린 루즈벨트’, ‘트루먼’ 네 명이 대통령은 전쟁이라는 가혹한 시련 속에서 그들의 리더십을 확증함. ‘시어도어 루즈벨트’는 대통령이 되기 전에 미국-스페인 전쟁 중 쿠바에서 세운 공훈과 외교활동, 진보적 개혁 활동에서의 호전적인 웅변술로 자신의 리더십을 공고히 함. 반면, 베트남 전쟁에서 실패한 ‘존슨’(Lyndon Johnson)은 ‘위대한 사회’(Great Society)를 추진할..

리더십이야기 2024.03.09